환경부에서 나온 멸종위기동물 카드입니다.
멸종 위기 동물들에 대한 안내 카드에는
사향노루에 대한 슬픈 이야기ㅠ_ㅠ가 담겨있습니다.
사향노루 수컷의 배쪽에 향을 내는 사향샘으로 인해 사냥의 목적이 된다는 이야기죠.
정작 후각 발달이 약해서 실제로 냄새는 맡지 못하는 사향노루.
하지만 노루가 내는 향 때문에 사냥꾼들은 무자비하게 노루를 죽여나갔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한반도에 거의 개체가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멸종위기에 쳐했습니다.
2000년도에 문화재청에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에는 현재 20여 마리의 사향노루가 살고 있다고 해요.
그리고 지난 주의 웹진에 의하면 사향노루가 멸종위기에 처한 요인으로는
도로의 건설, 산림의 파괴 등 서식지의 훼손과
사향을 얻기 위한 과도한 밀렵 등의 직접적인 포획이 있었지요?!
그래서, 이번 웹진에서는 사향노루를 보존하기 위해
어떤 실천을 할 수 있을 지에 집중해보기로 해요^^+
먼저, 사향노루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현재 사향노루가 서식하고 있는 강원, 경북의 산악지대 등의 산림을 보호해야 해요.
아래에서도 말씀드리겠지만,
서식지가 좁을수록, 사향노루의 근친교배 확률도 커지게 되어
종 보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숲의 면적은 사향노루 그 개체 자체의 생존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미래 사향노루의 자손들을 위해서도 매우매우 중요하답니다 ^^*
하나의 예를 들어볼까요? 강원도 화천에 있는, 흰바위산이라고도 불리는 백암산은 국내 최대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서식지랍니다. 또한 우리나라에 겨우 수십 마리만 살고 있는 사향노루의 주요 삶터이기도 하죠. 지난 60년간 민간인 통제 구역으로 지정되었던 이곳. 산사태 위험지대이자 지뢰지역이며 사향노루 서식지이기도 한 이곳에 현재 케이블카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이 있다고 합니다ㅜㅜ ▲ 사향노루. 국내에 수십 마리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21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있다. ⓒ 문화재청 케이블카 설치는 재해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 지역일 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서식하는 여러 생물들에게도 자칫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일이지요
▲ 백암산은 진귀한 임상과 희귀식물의 자생지로 2006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성급하면서도 위험 요소가 큰 계획들, 절대 실행되면 안되겠죠..? 정부 차원에서 이렇게 마음대로 정책을 실행하지 않도록 여러분의 관심과 목소리가 필요해요J 녹색 연합 등의 여러 환경 단체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환경 정보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세요.. 제 2의 사향노루 멸종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됩니다. 여러분의 작은 관심이 이런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 명심해주세요
또한, 2009년 한 해, 산불로 인해 손실된 산림은 무려 1358.85haㅇ_ㅇ!!!! 이렇게 산이 사라져 가면, 우리가 사향노루의 종을 복원시켜 낸다 하더라도 이들이 살아갈 곳이 없어지는 것이랍니다. 산불을 내면, 최소 7년의 실형을 살아야 한다고 하니, 본인을 위해서도 사향노루를 위해서도 산불은 조심해야겠죠? 두 번째, 밀렵 또한 그만! 해야겠지요. 물론 여러분들은 밀렵을 하지 않으시겠지만~ 강원, 경북의 산악지대에 방문하셨을 때는 산림에 밀렵도구가 있는지 없는지 한번 확인해주시고, 만약 있다면, 살포시~ 조심조심 제거해주시는 센스! 그리고 밀렵행위를 신고하였을 때는 포상금까지 지급받을 수 있다니! 누가누가 밀렵하는 지 감시하는 것! 매우매우 중요하지요~?! 사향노루가 가지고 있는 사향의 가치 때문에 사람들이 사냥으로 사향노루를 많이 죽이고, 그 결과 사향노루가 많이 사라지게 되었죠. 그래서 현재에는 머스크라는 향의 원료가 되는 사향은 인공적으로 만든 것만 사용한다고 하네요. 인공적으로 만든 것은 실제 사향과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사향노루를 죽이지 않는 좋은 방법이죠. 과학의 발전이 이런 곳에서도 멸종위기 동물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네요^^ 또한 인공증식을 통한 복원도 추진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문화재청의 조사결과 사향노루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소수의 개체가 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식지역간의 거리가 멀어 근친교배로 인해 열성유전자가 발현될 수도 있다고 해요. 그래서 이에 따라 문화재청에서는 강원도와 긴밀히 협조하여, 양구군에 서식공간을 확보하여 인공증식을 추진하고 증식된 개체를 서식지에 방사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는 사향노루를 복원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한국산양·사향노루 종보존회에서는 동물원을 제외하고는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되어, 사향노루의 서식에 필수적인 인공암벽 등을 갖춘 3만3058㎡ 규모의 방사장과 집중관리사 등 보존을 위한 최상의 시설과 인력을 갖추었다고 하네요+_+ 최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설악산, 오대산 등 강원권 야생동물 관리를 위해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북부팀을 운영한다고 9월에 발표한 바 있답니다. 공단은 이를 위해 강원권 멸종위기종 서식실태를 조사했으며 종별 보전 보전 및 복원 세부계획을 수립해왔다고 합니다. 이런 탄탄한 준비를 바탕으로 하여 사향노루를 포함한 산양, 곰, 여우 등의 멸종위기 종들의 복원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어요 우리가 조금씩만 관심을 가져준다면, 사향노루에게 더 큰 도움이 되겠죠? http://main.knps.or.kr/ 이곳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홈페이지랍니다. 이곳에 들어가면 사향노루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국립공원에서 살아가고 있는 또는 살아가도록 할 멸종위기 종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답니다. 시간 날 때 한번씩 들어가 본다면 좋겠죠?ㅋㅋ 사실, 전 세계에서 사향노루에 대한 관심은 아직 매우 낮은 수준이에요. 실제로 사향노루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그 복원을 위해 힘쓰는 연구기관이 세계에서 손을 꼽을 정도로 적다는 사실 아시나요? 그 연구기관들도 유명하고 세계적인 연구기관들은 잘 없고, 그나마 유명하고 사향노루에 대해 전문적이라고 할 만한 기관들도 독일에 두 곳, 이탈리아에 한 곳, 러시아에 두 곳 정도랍니다. 일단 지금 연구소에서 행해지고 있는 복원 프로그램으로는, 인공번식프로그램과 인공사육프로그램이에요. 특별히 야생상태의 사향노루를 관리한다던가 하는 프로그램은 아직 없답니다. ㅠ 그리고 저 두 프로그램조차도 아주 낮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어요. 인공사육프로그램의 경우, 사향노루의 개인적이고 공격적인 성향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거구요. 그 중에서 그나마 인공사육과 인공번식 프로그램에서의 최고봉이라 여겨지고 있는 곳은 독일의 라이프치히 동물원이라고 해요. 실제로 1980년대 이 동물원에서는 인공번식프로그램을 통해 네 마리의 새끼 사향노루를 얻기도 했대요. 하지만 그 태어난 지 1년 내에 사망하는 확률이 50%나 되었다고 해요. 다행히도, 이렇게 얻은 사향노루를 잘 관리해서 성숙된 후에는 대체적으로 건강하게 지낼 수 있었다고 하니 점점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지 않나요? 그리고, 러시아의 모스크바 근처에 있는 체르노골로브카 라고 하는 지역에는 사향노루 사육센터도 있구요. 그래도 너무 적다는 생각이 팍팍 드시죠? ㅠ 이렇게 사향노루는 아직 사람들의 관심을 얻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관리의 시초단계에 아직 머물러있다는 사실, 여러분 절대 잊지 말아주세요! 마지막으로 참 인상깊죵?~ 환경파괴는 결국 자연환경은 물론 문화환경과 인간성까지도 파괴하는 것이며 결국 환경복원은 파괴된 인간성을 복원하는 과정으로 인간이 환경을 지키고 보호하려는 의지가 없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 자료출처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416angae&folder=14&list_id=7198039 http://happylog.naver.com/greenkorea/post/PostView.nhn?bbs_seq=33053&artcl_no=123460959454
사실 이러한 취지는 평화/생태특구 사업으로서 의도 자체는 좋은 것이지만,
이곳에 케이블카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 녹색연합
한국산양·사향노루 종보존회에서 특히 강조하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舊번 국도 > anima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동물행동학] KAIST Animal Investigation (Group 5) (0) | 2012.01.30 |
---|---|
[웹진 8호] 사향노루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0) | 2010.09.16 |
[웹진 7호]한국 늑대의 보존 방안 (0) | 2010.09.10 |
[웹진 6호] 한국 늑대 (0) | 2010.09.04 |
[웹진 5호] 반달가슴곰 ... SO WHAT CAN WE DO? (0) | 201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