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세이브더칠드런에서 두 번째 해외결연 아동에 대한 후원이 종료됐다. 아동이 살고 있는 나라의 정치상황이 오랫동안 좋지 않아 아동에 대한 일대일 결연사업을 더 이상 이어가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이 이유다. 해당 국가에 대해서는 긴급구호 형태로 지원이 계속 이어진다고 안내받았다.
사실 해외결연이라는 형태의 후원은 원해서 시작한 것이 아니다. 아동의 개인 정보를 지키고 사생활을 보호하며 장기적으로 더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이유로 세이브더칠드런은 1:1 결연 대신 마을후원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유는 알 수 없는데, 이 프로그램이 1:1 해외결연으로 변경되면서 자연스럽게 시작했다.

첫 문장에서 말했듯 결연후원이 종료된 건 두 번째다. 객관적이고 외부적인 이유로 인해 결연이 종료된 두 번째 A아동과 달리 첫 번째 A아동(공교롭게도 두 아동 다 A로 시작한다)과의 결연은 공개할 수 없는(혹은 세이브더칠드런 측에서도 모르는?) 이유로 종료됐다. 가능성 있는 이유로는 아동의 조혼이나 이사 등이 있다,는 정도로만 안내받았다.
이유가 어찌됐든 결연 종료는 매우 갑작스럽게 이루어진다. 갑자기 전화가 와서는 종료 사실을 통보받는다. 전화를 받는 시점이 결연이 종료되는 시점이며 선택이나 마음의 준비, 정리할 시간, 마지막 인사같은 걸 할 기회는 없다.
이런 게 아쉽거나 불편하지는 않다. 물론 첫 번째에는 뜬금없이 전화가 와서 결연이 종료되었다고 하길래 좀 당황스럽긴 했다. 그래도 혹시나 내가 마음을 쓰던 무언가가 사라졌다는 느낌이라거나 허무함같은 걸 느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두 번이나 겪어서라기보다, 내 성격 탓이다(나는 아동과 지나친 유대관계-사실상 진실한 유대를 쌓기 어렵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이를 권장하지 않는 세이브더칠드런의 1:1 결연 방식이 마음에 드는 편이다). 중요한 것은 결연을 통한 후원이 중단된 해당 아동에 대한 지원이 앞으로 어떻게 이어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첫 번째 A아동의 경우 결연 종료의 이유가 거주지 이동으로 추측되었는데, 그렇다면 더 이상 지원이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세이브더칠드런은 현재 1:1 결연 형태로 해외 아동 후원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 후원금액이 지원에 사용되는 형태를 보면 이전의 마을후원 모델과 같다. 특정 지역에서 그 지역의 아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이 지원 지역에서 벗어나면 더 이상 지원할 수 없는 것이다.
1:1 결연의 경우 내가 후원하던(소식과 정보를 받아보던) 특정 아동이 사라지면, 더 이상 후원할 대상이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첫 번째 A아동이 살았던 지역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지만 나는 그 지역에 대한 지원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인데 결연 후원 프로그램의 구조상 이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 혹은 선택하지 않은 이탈이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그때 그 마을에 대한 후원을 더 해야한다고 느꼈다. 가족이 단체로 이주하는 사정이 아니라 아이가 조혼을 하거나 취업전선에 나서야 하는 등의 상황에서 아이는 직접 선택을 내릴 수 있는 권리나 능력이 없다. 이런 변화는 당연히 부모 또는 그 아이를 돌보는 어른이 선택한 결과이다.아동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택을 지양하고 아이가 스스로를 돌볼 준비가 될 때까지 잘 자라도록 돌볼 의무가 있다. 이런 돌봄과 보호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과 문화, 시스템임을 이해하기 때문에 후원금을 모으고 지원을 하는 것이다. 즉, 이런 일이 발생한 마을에 대해서는 아이뿐 아니라 어른들에게까지 교육과 지원을 더 확대해야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일개(!) 후원자 입장에서 후원이 이렇게 일방적으로 종료된 뒤에는 그 지역 아동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다.
두 번째 A아동과의 결연이 종료되었다는 안내를 받았을 때 내가 가장 확인하고 싶었던 게 이 부분이었다: 내 후원이 종료된 그 지역은 앞으로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는가. 이번에는 나만이 아니라 해당 지역에 대한 후원이 전체적으로 종료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더 확인하고 싶었고 무엇보다 두 번째 A아동의 나이가 아직 어려 걱정이 많이 됐다. 담당 직원은 긴급구호 형태로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만 전했다. 학교 등은 모두 철수하고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나 기타 지원은 사실상 끝나는 것이다.
사실 내가 후원하던 아동은 산골마을에 살고 있어서 그간 뉴스에 등장하는 큰 소요나 저항이 있을 때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했다. 또 국내 뉴스에서는 이 국가에 대한 소식이 최근에는 나오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서야 해외 뉴스를 검색해보니 사태는 아직도 전혀 나아지지 않았던 것이다.
그간 아동이 전해온 소식에서는 이미 코로나19로 인해 학교에 모여서 수업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스님들이 동네에서 조그맣게 모여 공부를 가르쳐준다고 했다. 코로나19 때문이라고 하는 소식을 보면 국가 정치상황으로 인해 이 마을에까지 나쁜 일이 직접 닥쳤다기보다 세이브더칠드런 팀이 오가며 해당 지역을 지원하는 데 어려움이 매우 커진 것이라고 본다. 다행인 면도 있지만 사실, 그래서 더욱 안타깝다. 세이브더칠드런 팀이 빠졌어도 지역사회 내에서 교육이 지속되길 정말, 간절히 바랄 뿐이다.

아이들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것은 교육에서 시작된다. 이 교육은 우리가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교과서를 읽고 수업을 들으며 배우는 지식의 습득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를 지키면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교육이다. 맞고 틀림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는 것이 교육이다. 어떤 상황에 처해있든 교육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아이들 스스로 생각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럴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교육은 필요가 아니라 필수다.
두 번째 A아동에게 가끔 편지를 썼다. 얼마나 이 내용이 전달될까, 라는 의문이 항상 있었지만 그래도 편지에 항상 신경을 많이 썼다. 개인적인 내용은 먼저 묻지 않으려고 했고 아동이 보낸 편지에 쓴 내용에 답하거나 칭찬해주는 말을 많이 썼다. 특히 공부를 다양하고 즐겁게 하도록 북돋워주려고 애썼다.
한 번은 아동이 꿈이 군인이 되는 것이라고 써서 좀 놀랐던 적이 있다. 편지에 뭐라고 써야 하나 고민하는 내게 오히려 교사생활을 오래 하셨던 부모님이 어릴 땐 꿈이 자주 바뀌고, 어떤 꿈을 가진대도 어른이 걱정하거나 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해주셨다(실제로 이후에도 꿈이 자주 바뀌었다). 교육은 이런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이가 자람에 따라 더 다양하고 넓은 시야를 가지게 도와주는 것, 직접 경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더라고 이 세상이 얼마나 넓고 다양한지 깨닫게 도와주는 것. 그리고 그러게 위해 먼저 아이의 시각을 이해하고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까지도 교육이다. 난 이게 절대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모든 어른의 몫이고, 직접 도움이 가 닿을 수 없는 환경에 놓인 아이들에게도 어떻게든 이뤄져야 할 무엇이라고 본다.

'思번 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상의 기술  (0) 2023.02.07
카타르 월드컵 주장 완장의 문구들  (3) 2022.12.13
내 첫번째 팀장님  (0) 2022.05.24
-  (0) 2022.02.10
notes  (0) 2021.11.22
Posted by sollea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