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 번째 웹진에서 소개해 드린 호랑이 보호 방법 중

WWF를 홍보하는 것도 소개해드렸어요~

WWF 사이트에 들어가보신 분들 중 어떤 것을 클릭해야하는지

찾기 어려우신 분들도 있으실 것 같아 안내해드립니다~

 확대된 네모칸 안의 그림에서 follow : 다음에 나온 것들에서 follow해주실 사이트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solleap
,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주일만에 다시 돌아온 Animalog입니다~^^

지난 주 웹진 재미있게 보셨나요?

이번 주에는 지난 주 웹진에서 알아본 한국호랑이를 돕기 위해

세계에서 여러 일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우리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나 함께 알아봐요!

 

그런데호랑이를 대체  보호해야 하는 걸까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상호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식물과 미생물까지 그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서로가 서로를 살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중 한 요소라도 사라진다면연쇄적인 죽음이 일어날 수 밖에 없고,

최종적으로는 우리 사람들까지도 멸종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생명체는 인간의 필요와 상관없이 각자의 고유한 역할이 있습니다.

호랑이는 생태계에서 최종 포식자의 위치를 점하고 있어 그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넓고,

지구상에서 가장 종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는 특성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또 호랑이는 생물학적으로'우산종'으로 분류되는데,
 

우산종이란 그 종이 차지하는 생태학적 지위가 다른 종들에 비해 많은 다른 종들과 연관되어 있어

그 종이 처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다른 수많은 종들의 상황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종을 말합니다.

영향을 받는 다른 종들에는 물론 인간도 포함이 되지요.

그리고 보통 생태계 보전 활동에서 보전 지역이나 범위방법을 결정함에 있어 우산종의 생태를 먼저 파악합니다.

호랑이의 개체수가 줄어들게 된 가장 큰 원인은 밀렵이기 때문에,

호랑이를 보호하려면 국제적인 밀렵 방지 법안을 제정해야만 하는데요,

이런 밀렵 방지 법안은 지역적인 협조체제를 더 굳건히 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한국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살펴봐요!

 

두 번째 웹진에서도 언급된 바 있지만,

1930년대러시아 극동지방에서 서식하던 호랑이는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20~30마리까지 그 수가 줄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련정부의 철저한 보호정책 덕분에 1986년에는 약 350마리로 증가되었죠.

여러 외국 환경 단체들의 한국 호랑이의 멸종을 막기 위한 노력 중, 대표적인 것이

'Operation Amba 로 대표되는 밀렵단속

미국 호너커 야생동물연구소의 호랑이 생태연구 및 서식지 보전계획 수립이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밀렵단속  OPERATION AMBA> 

 얼마 남아있지도 않은 호랑이 가족을 위협하는 호랑이 가죽을 벗겨 내다팔기 위한 밀렵!

 

러시아 정부는 호랑이를 보전하기 위한 'Tiger Department'을 세우고

외국 환경 단체들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Operation Amba라는 특별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Amba는 러시아의 우데게 원주민이 호랑이를 부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특별임무는 도대체 뭘 하는 걸까요?

이는 가동성이 뛰어난 4~5명으로 구성된 팀이 주기적으로 타이가 지역을 순찰하며

밀렵 및야생동물 밀거래 정보를 추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무려 4년동안 75만 달러 이하의 예산으로 밀렵을 75%정도 감소시켰다고 하니 정말 놀랄만하죠?^^

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밀렵단속반도 전문성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일을 하면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답니다.

이러한 보호 조치에 더 많은 인력을 투입한다면 멸종 위기의 호랑이 보호에 큰 도움이 되겠죠?

 

밀렵을 막기 위해 우리가 직접 할 수 있는 쉬운 방법 중 하나는

호랑이 가죽을 사거나 소장하지 않는 것이죠!

호랑이가 예로부터 귀신을 쫓고 부귀를 불러 온다고 하지만 이것은 미신에 불과!

모두의 호랑이를 위해서 호랑이 가죽은 멀리해 주세요~

또한 호랑이 가죽 밀거래를 하는 사람을 발견했을 시곧바로 신고를 해주세요.

신고는 관할 행정기관이나 경찰서 등이며 전화나 팩스우편인터넷 또는 직접 방문해 증빙자료와 함께 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밀렵·밀거래행위에 대한 신고전화는

국번없이 128(휴대전화는 지역번호 + 128) 있다네요.
 

신고자 신변처리는 철저한 비밀보장은 물론

밀렵·밀거래된 야생동물의 종별·수량 등에 따라 최고 200만원까지 신고보상금이 지급되며,

불법엽구 수거한 자도 신고보상금 지급을 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고 해요~ 

조선시대에 살생을 금하는 불교 사상에 대응되는 인간을 해치는 짐승은 없애도 된다라는 사상이 생겨나면서,

농사를 짓기 위해 좋은 땅에 사는 호랑이를 마구잡이로 사냥해

결국 남한땅에선 더 이상 호랑이를 볼수 없었단 이야기를 저번 웹진에서 했었죠?

이제는 우리가 호랑이를 지키기 위해서 가장 먼저,

그 어떤 생명이라도 소중하니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자는 사상을 가져야 될 거 같네요.

이미 우리땅에선 호랑이를 볼 수 없지만 여러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호랑이가 다시 나타났을 때를 대비하여

이런 사상들을 바탕에 두고 있는 것이 호랑이뿐만 아니고 모든 멸종위기 동물들을 위해 좋을 것 같아요^^
 


<생태연구 및 서식지 보호>

한국 호랑이(Amur tiger)의 서식지는 러시아 학자들에 의해 수십년간 연구되어 왔습니다.

1990년대 초부터는  미국의 호너커 야생동물 연구소도 시휙알린 자연보호구에서 호랑이 연구를 계속해 왔구요.

이들은 호랑이에 전파발신기를 달아 추적하여 생태 관련 기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호랑이들의 장기적인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서식지 보호계획을 세워 나간거죠.
 

뿐만 아니라호랑이를 위한 다용도 토지 이용계획을 비롯하여

개체군의 사회구조먹이짐승의 관리보전지역의 상호연결과 생태통로의 개발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호랑이 서식지를 다섯 등급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합니다.

 

야생동물보호협회(WCS) 활동가로 일하는 임성은 씨의 말에 따르면,

위에서 소개된 호랑이 보호 방법 외에도인간과 호랑이가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나가야 한다고 합니다.

호랑이가 멸종 동물이긴 하지만호랑이 서식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는 큰 피해가 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에는  친호랑이 인증서라는 것이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호랑이 보존에 협조하면 그가 생산한 토산품에는 인증서를 붙이고,

호랑이 보호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이 비싼 값에 이를 사주게 되는 시스템이랍니다.
 

그럼 자이제 시작이야~한국호랑이를 살리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또 다른 일은? +_+

 

호랑이가 멸종되는 건 먹을 게 없어서 이니까 고기만 있으면 호랑이도 살 수 있나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호랑이가 고기만 있다고 살 수 있을까요?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밥도 필요하지만옷도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도 푹 쉴 수 있는 집이 필요하지요.

호랑이에게도 안락한 집이 필요하답니다.

호랑이에게 집은 무엇일까요?

입니다!
 

숲 면적 감소로 인해서 한국호랑이의 서식지가 없어진 건저번 웹진에서 말씀드렸죠?

호랑이 한 마리를 위해서는 450km^2 의 숲이 필요해요.

호랑이에게도 더울 때햇빛을 피할 나무 그늘이 있어야 하고목을 축일 계곡이 필요하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숲 안에서 살아가는 다른 사슴노루 등이 호랑이에게는 꼭 필요한 먹이랍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숲을 지키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은~~~?

맞아요쉽게는 산에 나무심기쓰레기 버리지 않기담배 꽁초 버리지 않기…. 등등 많이 있죠.
 

그리고 소나무가 솔수염하늘소에 기생하는 재선충에 감염돼 말라죽는 ‘소나무재선충병’아시나요?
 

산림청장 및 지방자치단체장은 산림이나 산림이 아닌 지역의 소나무류에 재선충병 발생 및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감염목 소유자나 그 대리인에 방제조치를 명할 수 있으며,

이를 이행한 소유자나 대리인은 약제비와 인건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라고 하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바로바로방제하러 고고싱><

그리고, 산에서는 항상 불조심!!
 

2009년 한 해산불로 인해 손실된 산림은 무려 1358.85ha!

호랑이들이 살아갈 집을 이렇게 없애버리면 안되겠죠?

그리고 산불을 내면최소 7년의 실형을 살아야 한답니다. 

 

또한! 야생동물은 음식이 아니에요!

몸에 좋다면그 종류를 가리지 않고 먹으려 하는 사람들!

하지만시중에 떠도는 소문들은 거의 대부분 과학적 근거가 없는 헛소문 들이에요!

이런 헛소문 때문에 매년 죽어가는 야생동물들이 늘어갑니다.

심지어 중국에서는 호랑이도 잡아먹는다고 해요!_!!!!

관련 기사 보러가기 1>>http://news.nate.com/View/20100809n20951&mid=n0809

관련 기사 보러가기 2>>http://news.nate.com/view/20100726n11153?mid=n0411

야생동물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바뀌어야 호랑이도 다른 동물들도 살아갈 수 있답니다

한국호랑이의 먹이가 되는 사슴염소… 등등등!

호랑이 뿐 아니라 이처럼 다른 동물들도 호랑이의 생존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으니 더 이상 밀렵하시면 안돼요!

우리 사람들은 밥이 없으면 라면을 끓여먹으면 되지만한국호랑이들은 그렇지 않답니다ㅠㅠ
 

야생동물들은 그들만의 먹이그물을 형성하고 있는 데인간이 이 그물을 파괴시키기 시작하면

이 야생동물들뿐만 아니라 결국은 인간에게도 그 피해가 돌아오게 된답니다!

그러니 이젠~ ‘날씨도 더운 데 노루 한 마리 잡아서 원기보충이나 해야지하는 생각은

훌훌 털어버리시는 게 어떨까요? ^^*
 

마지막으로 소개할 호랑이 돕기 실천 방안!

2010년, 호랑이의 해를 맞이하여 WWF(world wildlife fund)에서는

다음 호랑이의 해인 2022년까지 전 세계에 분포하는 호랑이의 개체 수를

두 배로 늘리자는 목표 하에 캠페인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단체에 기부를 하는 것도 호랑이에게 큰 도움이 되겠죠?

하지만학생인 여러분은 기부라는 것에 대해 약간 부담을 느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저희 animalog처럼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도 WWF의 ‘save the tigers’캠페인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WWF save the tigers에 가보기 >>http://www.worldwildlife.org/species/finder/tigers/index.html

 이런 매체들에 관심을 가져준다면여러분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이 캠페인이 더 알려지겠죠?

이렇게 홍보활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는 것, 잊지 마세요!

그리고, WWF에서는 귀여운 호랑이인형을 구입하는 행사도 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호랑이 한 마리를 입양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서

호랑이를 직접 구한다는 느낌을 여러분이 가질 수 있게 하는 행사입니다.

호랑이 입양하기 >> http://www.worldwildlife.org/ogc/species_SKU.cfm?cqs=CTTG
 

유료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법도 있구요,

불법적인 호랑이 밀렵을 막기 위한 서명운동에 참여하실 수도 있습니다. 

 

헥헥헥, 생각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쉬운 일들이 많이 있었어요.

어쩌면 여러분 중 많은 수가 이 방법들을 이미 알고 계시고, 한 번쯤 생각해보셨을 수도 있을 거란 생각도 드네요. ^^

만약 그랬다면, 이번에 저희 Animalog와 함께 직접 실천해봐요!

그리고, 생각해보지 못하셨던 분들에게는 이번 웹진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 ^^

 

다음 네 번째 웹진에서는 한국 호랑이에 이은 두 번째 동물을 만나볼거에요~

어떤 동물을 만나게 될 지 벌써부터 기대되지 않으시나요???+ㅁ+

많이많이 기다려주세요!!

 

그리고 다음 주 일요일에는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Animalog의 야외 홍보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야외 홍보 소식도 많이 기다려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solleap
,
728x90
반응형

한국호랑이(아무르 호랑이)

Panthera tigris. altaica.(Amur Tiger)

 

 

여러분은 한국 호랑이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최근 한국 호랑이를 복원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점점 커져 많은 분들이

한국 호랑이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계실 거에요.

여러분을 위해 저희가 한국 호랑이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좀 더 자세하고 쉽게 이번 두번째 웹진에서 전해드릴게요미소

 

호랑이라는 종류의 동물에도 여러가지 세부 종이 존재해요.

한국 호랑이는 그 호랑이들 중에서도

panthera tigris altaica 라는 이름을 가진 종류에 속합니다.

이 긴 이름 말고, Amur tiger, 즉 아무르 호랑이라고 보통 불려요.

국제 사회에서는 한국호랑이라는 이름보다는 이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어요.

이번 웹진 내에서는 '한국호랑이' 라고 부를게요^^

 

다른 호랑이들과 한국호랑이가 대체 무슨 차이냐?!

한국 호랑이는 외형적으로 이마에 ‘임금 왕(王)’자 검은 줄무늬가 있어

권위와 위엄이 넘치는 표정과 밝게 빛나는 황갈색의 털,

우람한 발과 강한 발톱을 가져 한국의 기상을 생생하게 드러내지요.

 

다음 지도는 작년 10월 27일에 작성된 아무르 호랑이의 분포도에요.

한반도에서는 확실히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한국호랑이가 현재 멸종되었다는 것은 사실이에요.

 하지만, 지금 호랑이가 멸종이 되었다고 해서 이미 늦은 것은 절대 아닙니다.

약 50여마리의 개체가 위 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 개체들을 보존하고, 이용하여 개체수를 더 늘려야 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지요파이팅

 

사실 우리 한국호랑이가 속한 panthera tigris 라는 호랑이 종류 전체가 위험에 놓여있어요.

한국호랑이 뿐 아니라 생각보다 더 많은 수의 호랑이가 위험하단 얘기죠.

이 호랑이들의 위험 상태는 바로 2010년 지금, IUCN(www.iucnredlist.org)이라는 국제적인 멸종위기동물 관리 단체에 의해

"ENDANGERED".

말 그대로 '위태로운'상태로 분류되어 있어요.
 
 

요렇게 그림으로 보니까 좀 확확 와 닿죠잉?

 

세계적으로 한국호랑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에서는 호랑이를 보존하고 증식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어요.

그 결과로 한국호랑이의 개체수 감소 추세가 점점 약화되고 있다고 해요.

하지만, 아직 개체수가 증가 단계로 접어들지는 못하고 있구요,

약 3년째 개체수가 일정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한국호랑이는 주로 산림, 관목림과 같이 수풀이 우거진 지역에서 살아요

그래서 산림 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죠.

또 수명은 야생에서 보통 15년 정도인데,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완전이 성숙하려면 5년 정도가 걸린다고 하구요,

암컷 한 마리가 한 번에 1~3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데

새끼의 치사율이 매우 높아 서 3~4살까지 살아남기조차 매우 힘들다고 해요.

게다가 암컷 한 마리가 평생에 걸쳐 많아야 4~5회 정도밖에 번식도 안 하구요.

개체수가 자연적으로 쉽게 늘 수 있을 만한 조건은 아니네요.

그 만큼 우리가 더 신경써줘야 하는 동물이라는 뜻이겠죠?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세계적으로 호랑이의 보존에 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당장 중국과 인근 국경지대의 나라들의 협조도 당장 부족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더 많은 관심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여러분도 참여해 주실거죠?

 

그럼 계속해서

호랑이를 이 지경까지 위협하는 적은 대체 누군가!!

살펴보도록 해요~

 

우리나라 미신 중에는 호랑이 가죽은 부귀를 가져다주고 잡귀는 몰아낸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해요.

아마 한번쯤은 다들 들어본 이야기라고 생각되네요.

또한 호랑이띠 여자에게 호랑이 가죽이 영험한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내려 옵니다.

이를 믿는 우리나라 부유층에서는 5000만원을 웃도는 백두산호랑이 가죽을 몰래 구입하고 있다고 해요.

 

이 호랑이 가죽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밀수입 되는 거라고 해요.

하지만 백두산호랑이는 현재 멸종위기에 처해있어서,

호랑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으로 '멸종 위기 동식물 국제거래 협약'에 따라 거래가 금지돼 있고

가죽을 사들이는 나라는 국제사회의 눈총!!을 받게 돼 있어요. 

또한, 국제 협약에 따라 지난 2004년 국내에서 야생동식물보호법이 제정돼

가죽을 소장하기만 해도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있으니,

실제로 홍보 부족으로 인해 이 법률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아무 죄책감없이 야생동물 가죽을 소장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ㅠ

모르시던 분들은 기억해주세요~ !!

만약에, 연구를 위한 거래시에도 허가를 필요로 하는 등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하니

호랑이가 얼마나 보호받아야 될 동물인지 잘 알겠죠?
 

호랑이 가죽 밀수입이 빈번할수록

호랑이 가죽을 만들어내기 위해 얼마 안남은 백두산 호랑이가 죽어야만 하겠죠ㅠ

호랑이 가죽 밀수입은 현재 멸종위기에 처한 호랑이를 위협하는 이유중 하나에요.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지만,

가죽을 위해 얼마 남지도 않은 호랑이가 몽땅 다 죽어버리면

앞으로 호랑이는 전래동화속에서만 만날 수 있는 그런 동물이 되버리고 말거에요ㅠ

미신 때문에 불쌍한 호랑이를 다신 볼수 없는게 과연 옳은 일일까요?

 

이렇게 호랑이 개체수는 현재 급격히 줄어들어있는 상태이지만,

호랑이가 예전부터 이렇게 보기 힘든 동물은 아니었어요.

집으로 돌아가던 오누이의 엄마에게 호랑이가 어흥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라고 했다는 둥,

호랑이는 곶감을 무서워 한다는 둥, 옛날 이야기속에도 많이 나오고,

조선시대에는 호랑이에게 물려죽은 사람들도 많았다고 해요.

 

그런 호랑이가 이제 남한땅에서는 동물원에나 가야 볼 수 있을정도로 멸종위기가 되었다니..

왜 조선시대에는 이렇게나 많던 호랑이들이 사라졌을까요?

그 이유는 바로 일제시대때 정책에 의해서라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농업을 중시했는데 개간에 적합한 곳은 호랑이에게도 적합한 서식지였대요.

그래서 이를 빼앗기 위해 일제에서는 착호군을 조직하는 등

체계적인 포호정책을 세우고 호랑이 구축작전에 나섰었다고 해요.

그래서 대대적인 맹수사냥에 나섰고 결국 1987년 북한 자강도에서 잡힌 수컷호랑이 마지막으로

한반도에서 호랑이는 완전히 명줄이 끊겼다고 하네요ㅠ

 

본래 한반도에서 사람과 호랑이는 전반적으로 서로에 대한 두려움과 존경심으로 서로의 영역을 존중해 왔지만

사람들이 농사를 해야해서 호랑이에 서식지를 빼앗아감으로써 이런일이 생긴거 같네요.

그리고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지배체제인 불교는 짐승일지라도 이유 없이 살생하는 것을 금지했고

인간과 동물 사이에 넘지 못할 장벽이 있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조선의 지배층은 유학의 인본사상을 근간으로 인간을 해치는 짐승을 제거하는 것은 정당한 일로 생각했다고 해요.

따라서 우리는 한반도에서 호랑이를 사라지게 만든 장본인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지금이라도 한반도에서 호랑이를 되살리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더자연파괴 역시 한국호랑이의 멸종에 큰 영향을 주었답니다.

… 왜 자연파괴가 한국호랑이를 멸종위기에 처하게 했는지잘 모르시겠다구요_

 

산림생태계에서 호랑이곰과 같은 대형 식육동물들은

먹이동물들의 서식밀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여 다른 동물들에게도 서식지를 제공함으로써 종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답니다.

그래서 이러한 종들을 핵심종’(Keystone-Species) 이라고 불러요

 

그런데 암컷 한국호랑이 한 마리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지리산 국립공원 면적과 비슷한 450㎢의 숲이 필요해요.

만약 호랑이가 대를 이어 번식할 수 있을 정도의 집단( 50마리)이 살기 위해서는

경기도 전체 면적과 맞먹는 정도의 숲이 필요하다는 얘기죠.

 
옛날 우리 한반도는 금수강산으로 불릴 만큼 자연환경이 아름답고 숲이 많았지만

현재는 고속도로골프장이나 스키장 건설 등으로 인하여

한국호랑이가 살 수 있을 만한 온전한 숲이 줄어들게 되었어요.

또한 과거 60, 70년대에 녹화사업의 일환으로 침엽수를 밀식해서 심었는데,

그 이후 제대로 관리를 받지 못한 이 나무들은 현재 생장장애를 일으키고 있으며,

밀집된 나무들로 인해 햇빛이 통과하지 못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아 숲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답니다.

이러한 이유들은 먹이와 은신처로서의 숲의 기능을 크게 저하시켜

숲에 적응하여 살아가던 동물들을 위협하게 되죠.
 

또한 밀렵도 큰 문제가 되고 있어요.

한국호랑이의 가죽을 위해서 한국호랑이 자체를 사냥하기도하지만,

사람들의 몸보신을 위해서 많이들 드시는 사슴염소…. 등등 얘네들 다 한국호랑이의 먹이랍니다ㅠㅠ 

이처럼 숲의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먹이가 되는 동물들의 개체 수가 점차 줄어들고

한국 호랑이가 살아가는 터전인 숲이 점차 사라지자

한국호랑이는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답니다.

사람으로 치자면 먹을 것도 없고 집도 없는 상태라고 보아야 겠죠………….ㅠㅠ

 

안타까운 상황에 놓인 우리의 한국 호랑이.!!

이들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실제로 국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한국 호랑이를 구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들과

여러분이 직접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다음 호 웹진에서 자세히 만나봐요~!뿌듯

 

 

 

**참고자료**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님의 '호랑이의 삶, 인간의 삶'

연합뉴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

한국일보 ;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912/h2009121321482822040.htm

IUCN Red List ; http://www.iucnredlist.org

About.com - Siberian Tiger Population Holding Steady(Laura Klappenbach, 2005.6.23) ; http://animals.about.com/b/2005/06/23/siberian-tiger-population-holding-steady.htm

National Geographic - Siberian Tigers Stable, According to Landmark Survey(Brian Handwerk, 2005.6.16) ; http://news.nationalgeographic.com/news/2005/06/0616_050616_siberiantiger.html

WWF ; http://www.worldwildlife.org/specials/finder/tigers/year-of-tiger.html

녹색연합

 

728x90
반응형
Posted by solleap
,
728x90
반응형

8월 8일 대공원 자체 행사가 있어

야외홍보 일정이 변경될 예정입니다.

 

이번 주 내로 야외홍보 일정을 다시 공지하여드릴테니

확인하여주시고 꼭 참여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solleap
,
728x90
반응형

책상 앞에 앉아 정보를 익히고,

일상에서의 사소한 행동 하나만 해도

지구 전체 환경에 큰 영향 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Animalog는 뿌리와 새싹의 이념 하에

이런 작은 일들을 하나하나 실천해 나가기 위해 만들어진 모임입니다.

뿌리와새싹이란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침팬지를 연구하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연을 아끼고 보호하자는 의미로 벌인 프로그램이지요~미소

 

Animalog 첫 번째 웹진!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현재까지 분류된 멸종 위기의 동·식물, 그중에서도 멸종 위기의 포유류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할까요?

 

상큼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상큼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Ⅰ급이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을 의미합니다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Ⅱ급이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 동·식물을 의미합니다.

 먹는자처벌 대상야생동물이란?

야생동물이나 이를 사용하여 만든 음식물 혹은 추출 가공 식품을 먹을 경우 법적 처벌을 받도록 정한 종을 말합니다.

 포획금지야생동물이란?

포획이 금지된 멸종 위기 야생 동물과 그 밖의 야생동물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종을 말합니다.

 
유해야생동물이란?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을 의미합니다.

관리동물이란?

버려지거나 달아나 야생화 된 가축 또는 애완동물로서 이로 인하여 생물다양성의 감소 등 생태계에 교란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이를 관리동물로 지정·고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현재 포유류 1종 – 야생동물 및 그 알·새끼·집에 피해를 주는 들고양이가 속해있습니다.

 수출입허가대상야생동물이란?

수출·수입·반출 또는 반입할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야생동물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살아있는 동물 뿐만 아니라 가공품도 포함됩니다.

 

수렵동물이란?

수렵장안에서 수렵할 수 있도록 지정·고시된 야생동물을 의미합니다.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이란?

•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

• 유전자의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변형생물체중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

 

*자세한 내용은 http://nre.me.go.kr/meweb/main/index.jsp를 참고하세요

 

 

멸종 위기의 동물들에 대한 분류도 알아봤으니 이제는 앞으로 Animalog가 보호에 앞장 설 4가지의 동물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할게요즐거움

 

첫번째! 한국호랑이 

Animalog에서 첫번째로 다룰 동물은 한국호랑이입니다!

사실 한국호랑이는 88서울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호돌이 덕분에 우리에게 참~ 익숙하죠?

 

그런데! 호랑이면 호랑이지, 이건 또 무슨 한국호랑이냐구요? ㅇ_ㅇ 사실 분류학적으로는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가 같은 아종에 속하긴 하지만,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답니다. 그런데 이 한국호랑이가 남한에서의 거의 멸종하였으며, 매우 소수만이 북한에 살아남았다는 사실, 알고 계셨어요?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는 호랑이, 표범, 곰, 늑대 등을 해로운 짐승으로 분류하여 구제하는 사업을 펼쳤어요. 게다가 지금은 한국호랑이가 생존할 수 있을만한 면적의 숲이 없으니 한국호랑이가 살아남기는 더 힘들어졌지요.

 

한국호랑이를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나중에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해요!

 

두번째! 반달가슴곰

가슴의 하얀 반달 무늬가 너무너무 사랑스러운 반달가슴곰♥.♥

 

반달가슴곰은 다른 곰들에 비해서 몸집이 작기 때문에 나무 위에도 잘 기어오르며 동작도 매우 빠르답니다. 또 무척 온순한 편이어서 누가 먼저 공격을 하기 전에는 상대방을 절대 해치지 않아요. 하지만! 이렇게 귀엽고 온순한 반달가슴곰도 사람의 위협 속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세요? 보양식(?)으로 알려져 있는 곰쓸개 때문에(!) 밀렵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반달가슴곰은 1982년에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답니다. 반달가슴곰이 숲 속에서 자유롭게 뛰놀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관심을 가져야겠죠?

 

세번째! Tibetan Wolf - 늑대

 


늠름한 모습의 한국 늑대! 멋지지 않은 가요?

한국 늑대는 동북아시아 늑대 개체군 중 우리 한반도에 자리를 잡은 늑대를 말한답니다.

옛날 같으면, 동네 뒷산에서 늑대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가 못하답니다.

현재 한국 늑대는 오래 전에 진행되었던 대규모의 늑대 사냥과 자생지 절멸로 인해 멸종위기에 놓여 있답니다.ㅜㅜ

최근에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한국 늑대의 복원에 성공하여 대전 오월드에서 살아가고 있답니다. :) 새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 한국 늑대! 만나고 싶지 않으신가요?

 

네번째! 사향노루

사향노루를 아시나요? 흔히 노루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사향 노루라고 하면, 노루면 다 같은 거 아냐? 하는 생각이 드실 지도 모르겠네요.

사향노루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사슴으로 뿔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에요. 늘씬하고 긴 다리로 우아하게 달리는 온순한 동물이랍니다. 하지만, 이런 사향 노루도 요즘 살기가 힘들어 졌답니다.

바로 사향 노루가 지니고 있는 사향 샘 때문이랍니다. 이것을 말려서 상품화하는 탓에 사향노루는 이제 백두산 일대에서만 서식한다고 합니다.ㅜㅜ

사향노루는 천연기념물 21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답니다. 사향노루에게 관심을!!

 

오늘은 이렇게 네 동물을 만나보는 것까지 하구요.

다음 웹진에서는 그 첫번째, 한국 호랑이에 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설렘

 

 

728x90
반응형
Posted by solleap
,